1. Responsive App

PC에서나 스마트폰에서 모두 사용가능한 반응형 앱

2. Hybrid App

마켓에 올릴수도 있고, 도메인으로 접속도 가능한 앱

3. HTML5 + CSS3

대부분의 브라우저에 호환되고, 포탈의 검색엔진이 잘 찾는 앱

4. Networking Hub

큰 네트워크킹 허브를 만들어 공동마케팅을 할 수 있는 앱


1. Responsive App Design

이거 마술아니지?
Multi Screen OK - PC에서 접속하면 PC용 홈페이지가 나타나고, 스마트폰에서 접속하면 모바일 웹 화면이 나타나네! 태블릿 PC에서 접속해도 화최적화된 화면이 .....
야~ 이제 PC홈페이지 따로 관리하고, 모바일 홈페이지 따로 관리해야할 번거러움이 없어지고 적은 돈으로 홈페이지를 운영할 수 있겠구나. 이걸 혁신이라고 하나?? 반응형앱이 대세가 되겠군!


2. Hybrid App

마켓에 올리는 앱(어플)도 되고 모바일 홈페이지도 동시에 된다면 좋겠지?
하이브리드 앱은 겉으로는 플레이스토어나 앱스토어를 통해 배포되는 앱이지만
실제 주요 콘텐츠는 브라우저를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웹 형태로 ‘하이브리드’라는 뜻 자체가 융합이라는 의미를 가진 것처럼 하이브리드 앱은 모바일 웹과 앱의 장점을 모두 가진다.

특히 모바일 앱의 경우는 유지보수가 쉽지 않고 상용화를 위해서는 매번 검수를 받아야 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소규모 기업에서는 콘텐츠와 같은 알맹이만 웹으로 구성한 하이브리드 형태의 앱을 이용하면 저렴한 비용으로 앱을 배포할 수 있다.
실제로 네이버나 다음 등 많은 앱들이 하이브리드 형태로 제작되어 배포되고 있다.


3. HTML5 + CSS3

웹표준으로 멀티 디바이스와 디바이스 컨버전스가 ICT 업계의 화두가 된 가운데 HTML5는 가장 각광받고 있는 웹 기술이다.
HTML5와 CSS3로 제작한 웹 페이지는 웹을 열 수 있는 모든 디바이스에서 쓸 수 있다는 점도 차별점이다.
PC·스마트폰·태블릿 PC 등 웹 브라우저만 설치돼 있다면 어떤 디바이스에서도 웹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웹 페이지 등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기존의 모바일 앱(네이티브 앱)처럼 따로 설치하거나 추가 업데이트가 필요하다는 점에서도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특히나 네이버나 구글등의 주요 검색엔진에도 검색이 잘된다는 장점이 있다.



4. Networking Hub Solution

글로벌 회사도 하나로, 정부 지자체도 하나로, 교육청도 하나로, 대학도 하나로, 동문회도 하나로, 종교계도 하나로 묶을 수 있는 앱은???

모바일 앱을 만들었다고 하루아침에 방문고객이 급격히 늘어나지는 않는다. 자칫하면 만들어 놓고 홍보도 안되는 애물단지 앱으로 변하는 경우가 대 부분이므로 모바일앱을 만든 후에도 관리가 더 중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어느정도 해결 해 줄 수 있는 획기적인 방법이 바로 네트워크를 하나로 묶어 허브사이트를 만들고 이 허브 사이트를 집중적으로 홍보해 해당 네트워크 소속의 회원사들이 혜택이 돌아가도록하는 것이다.
스마트앱연구소는 국내최초로 이처럼 Powerful한 Network Solution을 구축해서 제작부터 홍보까지 걱정을 덜어드리고 있습니다.